▶ 변수 만들기
변수이름 = 값
x = 10
※ 변수이름 만들 때 규칙
변수의 자료형 알아내기:
type(변수)
변수 여러 개 만들기:
변수이름1, 변수이름2, 변수이름3 = 값1, 값2, 값3
x, y, z = 10, 20, 30
같은 값을 가진 변수 3개 만들기:
x=y=z=10
두 변수의 값 바꾸기:
변수1, 변수2 = 변수2, 변수1
변수 삭제하기:
del 변수
빈 변수 만들기:
▶ 변수로 계산하기
변수에 20을 더하면 30이 되지만, 변수를 다시 출력하면 이전의 값이 나온다.
a+20은 a에 20을 더하기만 할 뿐 결과를 유지하지 않는다.
값의 변화를 유지하려면 계산 결과를 다시 변수에 저장해야 한다.
a += 20은 a = a + 20의 축약한 형태로, 같은 의미를 갖는다.
뺄셈(-=), 곱셈(*=), 나눗셈(/=, //=), 나머지(%=)도 같은 방식. 똑같이 연산(-, *, /, //) 후 할당(=) 한다는 뜻.
유의할 점은 변수를 만들지 않은 채로 더하고, 다시 할당하는 코드를 짜면 에러가 발생한다.
왜냐하면 계산 결과를 d에 할당하기 전에 d와 10을 더해야 하는데 d라는 변수가 없어서 덧셈이 안 되기 때문이다.
참고
부호 붙이기
입력 값을 변수에 저장하기
입력받는 함수: input()
1. a = input()
2. a = input('출력할 문자')
입력받은 두 숫자의 합 구하기
10 + 20은 30인데 1020이 나왔다.
input으로 받은 값은 문자열이기 때문이다.
따라서 input을 정수형으로 받으려면 input 앞에 int를 써준다.
변수 : int(input())
변수 : int(input('문자'))
만약 1.6이나 2.4처럼 실수를 받으려면 아래처럼 하면 된다.
변수 : float(input())
변수 : float(input('문자'))
▶ 입력 값을 변수 두 개에 저장하기
.split() = 입력받은 값을 공백을 기준으로 분리
.split(',') = 입력받은 값을 콤마를 기준으로 분리
1. 문자열ver
a, b = input("문자열 두 개를 입력하세요: ").split() //공백을 기준으로 분리
print(a)
print(b)
*결과
문자열 두 개를 입력하세요: 안녕 하세요
안녕
하세요
2.숫자ver
a, b = input("숫자 두 개를 입력하세요: ").split()
a = int(a)
b = int(b)
print(a+b)
*결과
숫자 두 개를 입력하세요: 10 20
30
a = int(a)
b = int(b)
print(a+b) // print(int(a)+int(b)) 이렇게 써줘도 됨
map 사용하기:
변수1, 변수2 = map(int, input().split())
변수1, 변수2 = map(int, input().split('기준문자열'))
변수1, 변수2 = map(int, input('문자열').split())
변수1, 변수2 = map(int, input('문자열').split('기준문자열'))
map에 int와 input().split()을 넣으면 split의 결과를 모두 int로 변환해준다.
a, b = map(int, input('숫자 두 개를 입력하세요: ').split())
print(a + b)
*결과
숫자 두 개를 입력하세요: 10 20
30
'Coding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코딩도장 / Unit 9. 문자열 사용하기 (0) | 2019.12.26 |
---|---|
코딩도장 / Unit 8. 불과 비교,논리 연산자 알아보기 (0) | 2019.12.26 |
코딩도장 / Unit 7. 출력 방법 알아보기 (0) | 2019.12.26 |
코딩도장 / Unit 5. 숫자 계산하기 (0) | 2019.12.26 |
코딩도장 / Unit 4. 기본 문법 알아보기 (0) | 2019.12.21 |
댓글